비쥬얼이미지

비쥬얼이미지

home next 소식 next 뉴스

뉴스

미얀마, 2011년 대외교역 성적표 공개
2012.07.20 14:23:50 조회:1141 추천:1
작성 :전창준

미얀마, 2011년 대외교역 성적표 공개

- 수출액 3억8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4.97% 증가, 수입은 16억1700만 달러로 37% 증가 –

- 중고 승용차 대체 라이센스 발급 등 일부 수입 제한 품목 풀어 수입 증가세로 전환 –

- 한국, 對미얀마 전년대비 수출은 40%, 수입은 86% 각각 꾸준히 증가 -

 

 

 

□ 2011년도 미얀마의 대외 교역 특징: 수출 호조에 의한 무역수지 흑자 개선

 

 ㅇ 2012년 2월 EIU 리포트에 따르면, 2011년도 미얀마의 대외교역 특징은 수출 호조에 의한 무역수지 흑자가 개선됐다는 점으로, 흑자규모는 전년 대비 감소한 22억3200만 달러로 35% 기록

  - 지난해 미얀마의의 총 수출액은 82억1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5% 증가했으며, 총 수입액은 59억870만 달러를 기록해 교역규모는 전년 대비 37% 증가

미얀마의 교역추이

            (단위: 억 달러)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추정)

FOB 상품수출

63

71.9

67

78.3

82.19

FOB 상품수입

30.4

38.8

39.6

43.7

59.87

무역수지

32.6

33.1

27.4

34.6

22.32

자료원: EIU Country Report 2012년 2월호

 

 ㅇ 미얀마 교역은 해상으로는 싱가포르, 육상으로는 국경을 접한 태국, 중국, 인도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함. 주요 수출국으로는 태국, 인도, 중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등이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싱가포르, 중국, 태국, 말레이시아, 일본, 한국 등임.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천연가스, 티크·하드우드, 콩류, 의류, 수산물 등이며 수입 품목은 기계·운송 장비, 정유, 비금속 제품, 전기기계, 직물, 자동차·중장비 등임.

 

연도별 미얀마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회계연도

수출액

수입액

합계

2000-2001

1,960

2,319

4,279

2001-2002

2,544

2,735

5,279

2002-2003

3,063

2,299

5,362

2003-2004

2,357

2,240

4,567

2004-2005

2,928

1,973

4,901

2005-2006

3,557

1,984

5,542

2006-2007

5,232

2,937

8,169

2007-2008

6,401

3,353

9,755

2008-2009

6,778

4,543

11,322

2009-2010

7,587

4,181

11,768

2010-2011

8,861

6,413

15,273

2011-2012(12월까지)

6,800

6,600

13,400

출처: 미얀마 상무부 발표자료

 

□ 대미얀마 한국 수출, 전년 대비 40% 증가

 

 ㅇ 우리나라의 2011년 대미얀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3% 증가한 6억6690만 달러를 기록했음. 2000년 이후 연간 수출증가율로는 3번째로 큰 수치이며 2007년 대비 3억7490만 달러로128.4% 증가하하는 등 향후 대미얀마 수출은 지속 증가할 것임.

 

 ㅇ 2011년도에는 인프라 구축 확대와 수송기계, 제지원료·종이제품, 직물, 산업 기계 등의 수입 증가로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됨.

 

한국의 대미얀마 수출입 총괄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수 출

292.0

243.8

406.2

478.8

666.9

수 입

80.7

116.3

78.4

159.9

298.6

무역수지

211.3

127.5

327.8

318.9

368.3

자료: KOTIS

 

 ㅇ 품목별로는 산업기계, 철강, 봉제 원부자재, 수공기계, 석유화학제품, 섬유제품, 제지원료·종이제품, 축산물, 플라스틱제품 등의 산업용 원부자재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했음. 미얀마 정부는 제한한 품목을 수입 원활 정책으로 수입금액이 급속히 늘어난 한편 수출은 현지화 강세로 수출업자들이 어려움을 겪어 무역수지 적자로 개선됐음.

  - 또한, 한국 수출품이 경기침체의 영향이 적은 산업 필수 중간재가 주류를 이루기 때문으로 분석됨.

 

한국의 대미얀마 주요 수출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 코드

품목명

2010년

2011년

금액

증가율

 

 

총계

478,809

17.9

666,866

39.3

1

72

산업기계

106,709

147.4

165,782

55.4

2

61

철강제품

148,050

-30.7

147,449

-0.4

3

43

직물

35,183

49.6

73,539

109

4

74

수송기계

10,966

37.2

37,497

242

5

21

석유화학제품

21,031

9.7

36,420

73.2

6

31

플라스틱제품

21,946

56.7

32,177

46.6

7

44

섬유제품

25,963

79.3

31,413

21

8

22

정밀화학제품

19,517

45.7

22,333

14.4

9

25

제지원료및종이제품

6,957

25.8

16,982

144.1

10

33

가죽및모피제품

20,900

53.7

16,543

-20.8

주: 품목분류는 MTI 2단위 기준

자료: KOTIS

 

 ㅇ 지난해 세계 금융 위기의 여파에도 한국의 대미얀마 수출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데 이는 한국의 수출 품목이 미얀마 산업에 필수적인 중간재가 주류를 이루기 때문임. 미얀마에서는 세금 회피를 위해 언더밸류(Under Value)가 관행처럼 이루어지고, 한국에서 미얀마로 수출 시 싱가포르나 태국을 경유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한국-미얀마 간 교역량을 통계로 나타나는 숫자로만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

 

□ 對미얀마 수입 전년대비 86.8% 급속히 증가

 

 ㅇ 우리나라의 대미얀마 수입은 2003년 이후 증가세를 보여왔으나 2011년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86.8% 증가한 1억38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섬유제품, 농산물, 임산물, 신변잡화의 수입이 두드러지게 증가했음.

  - 다만, 봉제의류는 한국의 대미얀마 비관세 혜택 확대로 수입이 증가할 것임.

 

한국의 대미얀마 주요 수출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 코드

품목명

2010

2011(1월~12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59,892

104.1

298,635

86.8

1

44

섬유제품

124,238

129.7

232,795

87.4

2

1

농산물

19,853

116.6

41,012

106.6

3

3

임산물

9,828

3.8

16,366

66.5

4

51

신변잡화

2,411

15.1

4,610

91.2

5

4

수산물

2,024

-5.8

2,145

6

6

59

기타생활용품

375

-24.2

446

18.7

7

42

섬유사

0

-

371

-

8

74

수송기계

207

22.7

277

33.4

9

98

가발및가눈썹

283

1,036.40

210

-26

10

43

직물

39

-29.3

140

261

주: 품목분류는 MTI 2단위 기준

자료: KOTIS

 

□ 전망

 

  현지화 강세로 수출 둔화와 인프라 구축확대되며 수입 증가 예상

  - 미얀마의 천연가스의 수출이 전년 대비 12% 감소한 25억4000만달러를 기록했으나 농수산물과 섬유 제품은 꾸준히 수출 증가세임.

  - 수입의 경우 네피도(신수도)의 건설과 전력, 통신 인프라 확대, 자동차·중장비, 건축자재, 기계·운송장비, 식용유 수입 증가 전망

 

 

자료원: Weekly Eleven 주간지, KOTIS, 미얀마 상무부 자료 및 코트라 양곤 무역관 종합.

DETAIL MODIFY DELETE PRINT
REPLY LIST ON NEXT
글쓴이제목내용
전체글: 88
RELOAD VIEW
DETAIL
번호 제목 출처 작성자 등록일 조회
RELOAD VIEW
DETAIL
1 [2] [3]
로고

Address : 5-F, Aungmingalar St. 4 Quarter, Mayangone T/S
Tel : +95-943118713 | E-mail : hanin@myanmarhanin.com
Copyright ⓒ Korean Association in Myanmar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Justin Jeon